Artist Info

김결수

작가노트

그의 단색조 화면은 흑백의 강한 대비와 단순 명쾌함으로 뭔가를 호소하는 듯하다. 문인화에서 온 듯한 유유자적의 여유와 평온함이 짙은데, 그의 묵언의 메시지에는 날이 서 있다. 디테일로 들어가 보면 그의 화면은 의외로 집중력 있는 노동이 집약된 결과물이다.

백색 종이의 바탕이 무수히 긁혀 흐트러진 보풀 가득한 텍스처, 굵고 기하학적인 검은 선의 마을 드로 이, 그러면서도 대조적으로 보일 듯 말 듯 가느다란 빗줄기 같은 선들. 드러나지 않게 은밀히 공들인 것 들이다. 공사 현장 노동을 병행하는 작가가 깨달은 바를 몸짓으로 보이는 것이리라.

사람은 끊임없이 노동해야 하고, 작가도 그것으로 정신의 건강과 영감을 얻는 존재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가 희구하는 가치란 삶의 터에서 이웃과 소박하게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고고한 자아의 화관을 벗어 던지고, 삶을 더 치열하게 살자는 외침이 절절하다.

아모르파티(Amor Fat). 아픈 운명조차 기꺼이 받아들이는 화가의 고귀한 영혼.

Labor&Effectiveness

Acrylic and paper

93x176cm

2021

2000만

Labor&Effectiveness

Acrylic and paper

75x100cm

2021

10,000,000

Labor&Effectiveness

Acrylic and paper

56x75cm

2021

4,000,000

Gallery
평론가의 글

노동과 효과. 다르게는 노동의 효과라고 해도 좋을, 작가 김결수가 작가에 입문한 이후 지금까지 곧 일관되게, 고집스럽게 천착해오고 있는 주제고 주제 의식이다. 추상미술에서처럼 특별한 주제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주제는 작가의 작업을 의미론적으로 함축하고 지지하는 인문학적 배경이 되고 있 고, 그런 만큼 작가의 작업을 이해하는 길잡이 역할을 한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 자체 예술을 매개로 풀어야 할 화두라고도 할 수가 있을 것인데. 그렇다면 작가는 이 주제에 무슨 의미심장한 의미(그리고 실천 논리)라도 담고 있는 것인가.